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주린이 탈출 시리즈 [직장인들에게 꼭 필요한 자동매매, 시세포착주문] 전업 투자자가 아닌 이상, 본업이 있기에 하루 종일 핸드폰을 붙잡고 주식 매매를 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장중에 반짝 슈팅이 나오거나 특정 이슈로 인해 급락이 나오는 경우 실시간 대응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중간중간 화장실에 가서 차트를 보면 이미 위꼬리가 슝............ 이런 경험이 다들 있으실 겁니다. 이럴 때 '시세포착주문'을 이용하면 본업과 상관없이 원하는 가격에 익절, 손절을 할 수 있습니다. 시세포착주문 설정 방법 시세포착주문 메뉴는 아래와 같다. 보유 종목이 나열되고 잔고, 평균단가, 설정 수량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매도 감시' 탭의 경우 현재 보유 중인 종목, '매수 감시'와 '신규 편입' 탭의 경우 감시 ..
주린이 탈출 시리즈 [종목 선정이 어렵다면, 종합 선물 세트인 ETF] ETF (Exchange Traded Fund) 란? 쉽게 말하면 ETF는 상장주식펀드이다. 말 그대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일반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이다. 추종하는 지수의 구성 종목들로 펀드를 구성하기에 ETF를 매수하면 지수 구성 종목 전체를 매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쉽게 말하면 '바이오' 관련주를 사고 싶은데, 수많은 바이오 종목 중 어느 종목이 오를 종목인지 알 수 없다. 그렇기에, 'KODEX 바이오'와 같은 ETF를 매수하면 좀 더 안전하게 '바이오' 관련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ETF 장점 특정 종목이 아닌, 해당 섹터의 다양한 종목을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성 종목의 정보 확인이 ..
주린이 탈출 시리즈 [S&P 500 VIX 공포 지수를 활용한 매매] ※ 주의 ※ 주식에 100%는 없습니다. S&P 500 VIX 공포 지수는 참고용 지표, 본인 매매 패턴에 더블 체크 요소일 뿐입니다. VIX 지수(Volatility Index) 변동성지수로 S&P500지수 옵션에 기반한 변동성을 측정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즉, S&P500지수 옵션 가격의 향후 30일 동안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일반적으로 증시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위험 헤지를 위해 투자자들의 옵션 수요가 증가하고, 그로인해 옵션 가격이 높아지고 VIX 지수가 올라간다. VIX 지수가 오를수록 시장에 변동성에 커지는 것을 의미하기에 '공포 지수'로 많이들 사용..
※ 주의 ※ 차트 매매에 100%는 없습니다. 항상 지수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지수 앞에선 차트 건, 거래량이건 장사 없습니다. 그렇기에, 분할 매수로 접근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매수 시 손절 라인까지 생각하셔야 합니다. 손절은 짧게, 익절은 분할 매도를 통해 극대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린이 탈출 시리즈 ## 급등 차트의 비밀 : W 패턴(쌍바닥 패턴) W패턴(쌍바닥 패턴) 이란? 주가가 가격 조정을 받으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모습이 W와 닮은 패턴이다. 바닥(저점)이 쌍으로 나타나서 쌍바닥 패턴이라고도 불린다. 이론적으로 두 개의 저점이 나오고, 첫 번째 저점보다 두 번째 저점이 높아야 한다. 첫 번째 하락시점 보다 두 번째 하락 시점의 거래량이 더 적어야 하고, 그 각도가 완만한 것이 좋다..
주린이 탈출 시리즈 [거래량의 의미] 차트 매매 시 가장 중요한 것은 거래량이다. 내가 하는 차트 매매는 세력이 들어온 종목을 매수해서, 세력이 나오기 전에 나오는 것이다. 가끔 운 좋게 세력과 동시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 세력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가 바로 거래량이다. 극단적인 예로 거래량만 보고 매수해도 어느 정도 수익을 낼 수 있다. 위 차트를 보자. 세로 선은 거래량이 급감한 지점이다. 해당 지점에서만 매수를 해도 수익을 꾸준히 낼 수 있다. 실전 매매 우선 과거에 없던 엄청난 양의 거래량이 발생한다. 큰돈이 들어왔다는 의미이다. 이후 세력들은 거래량을 줄이고 꾸준히 매집을 진행할 것이다. 매집을 하는 과정이 짧기도 하고 길기도 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주린이 탈출] 4편 : ..
주린이 탈출 시리즈 [지지와 저항이 만드는 박스권] 계속 오르는 주식, 계속 내리는 주식은 없다. 주가는 올라가면 내려오고, 내려가면 올라오는 형태를 보인다. 즉, 내려오면 매수, 올라가면 매도..말은 참 쉽다. 주가가 내려온 매수 타점인지, 주가가 올라온 매도 타점인지 분석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주가는 위와 같이 특정 가격대 내에서 주가 이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재료가 좋거나 세력이라면 큰 거래량으로 한 번에 주가를 올릴 수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기에 제외한다. 위처럼 주가가 특정 가격을 넘지 못하고 빠지는 지점이 박스권 상단이고, 주로 저항이라고 표현한다. 주가가 오르는 과정에서 저항을 받아 내려오기 때문이다. 반대로, 주가가 특정 가격 이하로 내리지 않고 오르는 것을 볼 수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