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WWW(World Wide Web)와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 기존 웹의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이다.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원의 표현에 의한 상태 전달이다. HTTP URI를 통해 Resource(자원)를 명시하고 HTTP Method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상태)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Request가 완료되면 Server는 특정 Representation(표현방식)을 Response로 보내준다. 즉, 자원 기반의 구조 설계의 ..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웹상에서 자원들의 위치를 의미한다. 즉, 웹 서버의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주소이다. 접근 프로토콜 :// IP 또는 Domain / 문서 경로 http :// naver.com / main [IP] 하나의 컴퓨터에는 하나의 IP 존재, 물리적 호스트 대상 => 아파트 [PORT] 컴퓨터 내에 존재하는 각 서버, 논리적 대상 => 개별 호수 (HTTP 기본 Port : 8080) #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웹상에서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이다. URI가 URL 보다 더 큰 개념이고, URL은 URI에 포함된다. http://sample.com/images/dog.jpg 는 URL 이면서 URI 이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