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Load Balancer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키는 서비스이다. 즉, 여러 대의 서버를 두고 트래픽을 분산시켜 각 서버에 주어지는 부하를 줄이는 서비스이다. 또한, 외부의 공격(DDoS 등)으로 부터 안전하다. 각 Server 앞에 LB를 두고 공인 IP를 설정, Client의 모든 요청을 LB가 받기 때문에 실제 Server들은 사설 IP를 갖게 된다. 그렇기에 외부에서는 서버의 IP를 알 수 없고 서버에 직접 접속할 방법이 사라지게 되어 안전해진다. 대표적으로 L4, L7 Load Balancer가 있다. ## Load Balancing Algorithm Round Robin sever에 들어온 요청을 순서대로 돌아가며 배정하는 방식이다. client의 요청을 순서대로 분배하기에 각 server가 ..
# DNS Domain Name System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www.naver.com' 와 같은 URL을 입력하면, ISP가 관리하는 DNS 해석기에 요청을 라우팅 시킨다. 이후, DNS 해석기가 루트 서버에서 top-level -> second-level -> sub DNS server 순으로 요청하며 IP를 얻는다. 참고 https://222tistory.tistory.com/80
# TCP & UDP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패킷을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달해주는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 특징 연결형 서비스 3-way-handshaking (연결 성립) open()을 실행한 client가 syn을 보내고 syn_sent 상태로 대기한다. server는 syn를 받고 syn_rcvd 상태로 바뀌고, syn와 ack를 client에게 보낸다. syn와 ack를 받은 client는 established로 상태를 바꾸고 server에 ack를 보낸다. ack를 받은 server는 established 상태가 된다. 연결형 서비스 4-way-handshaking (연결 해제) client는 server에게 연결을 종료한다..
# OSI 7 Layers 인터넷 환경에서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킹에 대한 표준을 7 계층으로 나눈 것이다. 이를 통해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이슈가 생겼을 경우에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다. ## Physical Layer (L1) 리피터, 케이블, 허브 등 전선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는 계층, 데이터 전송의 역할만 수행한다. ## DataLink Layer (L2) 브릿지, 스위치 등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으로 송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도와주는 계층이다. 프레임에 Mac 주소를 부여하고, Mac 주소를 통해 통신한다. 에러 검출, 재전송, 흐름 제어를 진행한다. ## Network Layer (L3) 라우터, IP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